와이파이를 쓰고 싶은데 공유기는 없고 노트북과 유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인터넷만 있는 상황이라면 몇 가지 설정을 통해 핫스팟 만들기를 해주면 됩니다. 물론 만들기를 진행하기 위해선 적절한 절차를 알아두어야 하는데 제가 보탬이 되려 이번에 작업과 관련된 정보를 엮었으니 혹시 해당 내용을 검색하고 있었다면 아래의 글을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일단 노트북으로 와이파이 만들기를 할 수 있는지 테스트를 해야 하는데 시작의 보조 프로그램을 진입해서 명령 프롬프트를 찾고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 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합니다. 참고로 8 이상의 운영체제는 시작 버튼을 바로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눌러보면 명령 프롬프트의 관리자 권한을 찾을 수 있습니다. 좌우간 노트북 핫스팟 만들기를 위한 테스트는 'netsh wlan show drivers'를 입력하면 되며 하단의 이미지와 동일하게 네트워크 지원에 '예'가 표시되어야 만들기 과정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만들기를 할 수 있는 여건이라면 이번에 노트북에서 해야 할 작업은 'netsh wlan set hostednetwork mode=allow ssid=이름 key=암호 eyUsage=persistent'를 입력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핫스팟의 사용을 위한 어댑터의 생성은 끝이 났으며 마지막으로 하나의 설정만 바꿔주면 모든 만들기 과정이 완료됩니다.
만들기를 위한 마지막은 작업은 노트북의 제어판, 네트워크 및 인터넷, 네트워크 연결에서 유선으로 연결된 인터넷의 어댑터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누르고 속성을 선택한 뒤 위의 이미지와 같은 세팅을 하는 것입니다. 공유할 네트워크는 앞서 만들기를 해두었던 어댑터이며 과정이 완료되면 노트북이 와이파이 신호를 보낼 것이며 핫스팟을 쓸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