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에 대한 정보를 정리해보려 합니다. 윈도우의 시스템에 사용된 구성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라 할 수 있을 텐데 내용을 어떻게 수정하느냐에 따라서 개인에게 더 잘 맞는 컴퓨터로 맞추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레지스트리 편집기실행을 하는 방법을 찾는 분들의 발걸음이 꾸준히 이어지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 그래서 이번에 참고를 하실 수 있도록 해당 화면을 모니터에 띄우는 방법에 대한 얘기를 해보려 하는데 혹시 관련 정보를 찾고 있었던 분들이라면 아래에 정리된 글을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을 하는 절차는 엄청나게 간단합니다. 일단 키보드의 좌측 하단에 있는 창문 모양이 그려진 버튼과 'R'을 동시에 누릅니다. 그러면 모니터의 왼쪽 밑에 실행과 관련된 작은 창이 하나 뜨게 될 텐데 텍스트를 입력하는 부분에 'regedit'를 입력하고 엔터를 눌러주면 됩니다. 그러면 이번 글의 주제가 되는 화면은 바로 모니터의 중간에 나타나게 될 것입니다.
다만 편집기의 내용을 잘못 수정하게 되면 시스템에 심각한 손상을 입힐 수 있고 윈도우를 다시 깔아주어야 하는 상황까지 이어질 수 있으니 화면을 띄웠다고 하더라도 무작정 정보들을 수정하는 것은 권장을 하지 않습니다. 꼭 수정을 해야 할 상황이라면 PC의 중요한 데이터를 백업해둔 상태에서 작업하실 것을 추천하며 기왕이면 직접 수정을 하는 것보다는 관련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키보드와 마우스의 최적화를 하거나 시스템의 속도 향상을 위해서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런 작업의 경우 관련 기능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가 있으며 직접 수정하는 것보다 뛰어난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하셔야 합니다. 특히 최적화를 목적으로 하시는 분들이라면 'Glary Utilities'와 'Wise Care'를 동시에 구동하면 직접 수정하지 않아도 최적의 상태로 정리를 할 수 있습니다.
각설하고 지금까지 윈도우의 데이터 베이스를 열어주는 방법에 대한 내용을 정리했는데 아무쪼록 들러주신 분들께서 필요로 하던 정보와 일치할 수 있는 글이었으면 좋겠습니다. 다음에는 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의 연장이라 할 수 있는 내용 수정과 관련된 간단한 내용을 정리해볼 것을 약속하며 이번 글은 이쯤에서 갈무리를 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