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즈의 디펜더에서 켜기와 끄기를 해주는 절차 안내 정보
1. 키보드 [시작 버튼 + R]을 누른 뒤 [gpedit.msc] 입력
2. Windows Defender 항목 더블클릭
3. 사용 또는 구성되지 않음에 체크 후 확인
요즘에는 백신을 따로 준비하는 것이 추세이기 때문에 운영체제에 있는 윈도우즈 디펜더는 사실 필요가 없습니다. 오히려 두 개의 백신을 구동하면, 서로 충돌하며 오류가 생길 수도 있죠.
고로 다른 백신을 준비해둔 상태에서는 끄기를 해주는 것이 좋고, 따로 사용하는 백신이 없는 상태라면 켜기를 해주는 것이 좋은데, 기능의 활성화와 비활성화를 해주는 과정은 아래에 적어두었으니, 필요할 때 읽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를 실행하는 것입니다. 키보드에서 [윈도우 키 + R]을 누르고, 실행 화면에 명령어로 [gpedit.msc]를 적어주면 됩니다.
편집기 화면이 열린 뒤에는 왼쪽에서 컴퓨터 구성 아래에 있는 관리 템플릿, Windows 구성 요소, Windows Defender을 순서대로 클릭하며 진입합니다.
그럼 세부 메뉴에 끄기가 나오는데, 더블클릭을 해서 실행하면 됩니다. 자세한 항목의 위치는 이미지에서 빨간색으로 표시를 해두었으니, 실행해야 할 항목을 모르겠다면 이미지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추가 화면이 열린 뒤에 사용을 체크해주고 적용이나 확인을 눌러주면, 디펜터는 비활성화 상태가 됩니다. 즉, 끄기 메뉴를 사용하는 것이니, 도구가 꺼지는 것이죠.
반대로 구성되지 않음이나 사용 안 함에 체크를 해주시면, 운영체제 기능이 켜지게 됩니다. 서두에서 언급을 했듯이 따로 사용하는 백신이 없다면 가급적 자체 기능이라도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여담으로 자체 기능이 나쁘다는 것은 아니지만 성능이 뛰어난 전용 도구들이 많이 나온 상태이니, 기왕이면 백신의 성능 수준을 살펴보고 따로 구할 것을 권장합니다. 저는 판다를 쓰고 있는데 가벼운 정도나 진단 기능에서 여러모로 만족하고 있죠.
각설하고 운영체제에 있는 기능을 켜고 끄는 것에 대해 얘기를 해봤는데, 팁 정보에 불과한 글이었지만 그래도 여기까지 들러주신 분들께서 원하던 정보와 조금은 일치를 할 수 있었길 바라며, 저는 이쯤에서 물러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