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우저 주소창의 왼쪽 부분을 살펴보면 페이지의 종류를 알려주는 작은 그림이 있는데 사이트 방문자 입장에선 그냥 보고 넘기는 항목이지만 사이트를 제작하는 사람의 입장이 되면 상당히 욕심이 생기는 부분이죠? 그래서 파비콘 만들기를 시도하려는 분들의 발걸음이 꾸준하게 이어지는 것일 텐데 일반 이미지 파일을 아이콘 파일로 바꿔주기만 하면 되는 간단한 작업이고 컴퓨터에 능숙하지 않은 저도 무난히 해낼 수 있고 설명할 수 있는 과정이라 아래 파비콘 만들기와 연관된 내용을 엮었으니 필요할 때 읽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서두에서 언급을 했지만 ico를 만드는 과정이며 단발적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웹 도구를 활용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goo.gl/YQo72O]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되는데 안전한 경로이고 사전에 기능의 검증도 해두었으니 안심하고 방문하셔도 됩니다. 다만 파비콘 만들기를 도와주는 페이지로 연결이 되려면 대문자와 소문자 및 숫자를 구분해주셔야 합니다.
페이지가 로딩이 되면 [파일 선택]을 누르고 사전에 준비해둔 이미지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Upload]를 클릭한 뒤 하단에서 변환하고 싶은 이미지를 확인합니다. 이어서 효과를 주고 싶다면 효과 기능을 세팅하면 되는데 작은 이미지를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효과를 주면 오히려 가독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효과는 생략할 것을 권장합니다.
마지막으로 만들기를 하고 싶은 이미지의 사이즈를 체크하고 다섯 번째 단계에 있는 [Convert]를 누르면 변환이 완료됩니다. 그리고 포맷이 바뀐 다음에는 다운로드라 적힌 텍스트를 클릭해서 파일을 받을 수 있죠. 이렇게 만든 파일은 적절한 루트 디렉터리에 넣어주는 것으로 주소창 왼쪽에 나타나도록 설정을 하실 수 있습니다.
그저 웹 도구를 하나 소개하는 것에 불과한 파비콘 만들기 정보였는데 부족한 글이었지만 그래도 들러주신 분들께서 원하시던 내용과 조금은 일치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다음에는 제작해둔 아이콘 파일을 제작하고 있는 페이지에 적용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다뤄볼 것을 약속하며 저는 이쯤에서 물러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