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혹 문서 파일만 덩그러니 있고 호환이 가능한 프로그램이 없어서 자료를 열람하지 못 하는 경우가 있는데 한글 문서라면 뷰어를 준비하면 됩니다. 공식 2010 뷰어를 써도 되고 아니면 다양한 문서를 지원하면서 열람 기능에 집중된 툴을 설치해도 되는데 어쨌든 정보가 있어야 사용이 가능하니 이번에 글을 엮어봤습니다!
일단 한글과 컴퓨터에서 배포하는 전용 뷰어는 한컴 홈페이지나 산림청 홈페이지에서 받을 수가 있는데 절차가 더 간단한 산림청을 안내하도록 하겠습니다. 주소는 'goo.gl/ugL1w6'이며 길고 복잡한 고유 주소를 제가 짧게 만든 것이니 안심하고 찾아가셔도 됩니다. 그리고 페이지의 하단을 살펴보면 한글 2010 뷰어 항목이 있으며 클릭을 하면 바로 압축 파일이 받아지게 될 것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용량이 크고 기능도 적은 전용 뷰어를 준비하는 것보단 한글을 포함하여 다양한 문서 자료의 열람 기능을 지원하는 뷰어를 선택할 것을 권장하는데 2010의 경우 다뷰 인디를 쓰면 간단하게 열어볼 수 있으며 다뷰는 'datools.kr/Down7_1.htm'에서 다운로드를 할 수 있습니다. 사용에 제한이 없고 사용감이 가벼운 뷰어이니 설치를 해두면 여러모로 요긴하게 활용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여담으로 한글을 단순히 열어보고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간단한 편집도 해야 할 상황이라면 뷰어보단 네이버 오피스가 적당할 수 있습니다. 웹 편집이 가능하죠. 다만 한글의 포맷을 워드의 형태로 바꾼 뒤 수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호환성을 고려하는 분들이라면 다소 활용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각설하고 문서 열람을 위한 뷰어를 얘기했는데 무난히 툴을 설치하고 2010 버전으로 작성된 파일을 확인하는 것에 보탬이 되었길 바라며 저는 물러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