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에는 오디오 파일의 포맷에 대해서 딱히 신경을 쓸 일이 없지만 가끔씩은 호환성을 고려해서 어쩔 수 없이 포맷을 바꿔주어야 할 순간이 있죠? 그래서 wav 변환기를 찾는 분들의 발걸음이 꾸준히 이어지는 것이라 생각을 하는데 혹시 mp3를 활용해서 포맷을 바꾸고 싶었는데 변환기에 대한 정보가 부족해서 사용을 할 수 없었다면 아래 참고할 수 있는 내용을 엮었으니 설명을 살펴봐주시기 바랍니다!
한 번의 작업을 위해 툴이 필요한 분들이라면 프로그램을 받는 것보다는 웹 기능의 편하겠죠? 그래서 단발적인 작업일 땐 'media.io/ko'를 찾아갈 것을 권장합니다. 브라우저에 주소를 적고 엔터를 누르면 깔끔한 페이지로 연결이 되는데 좌측을 살펴보면 mp3 wav 변환기와 관련된 메뉴들이 나열되어 있을 것입니다. 기능을 다루는 절차는 상당히 간단하니 제가 자세히 다루는 방법을 얘기하지 않아도 충분히 사용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한 번에 많은 mp3를 바꿔야 하거나 수시로 변환기를 써야 할 상황이라면 wav를 만들 때 프로그램을 쓰는 것이 효율적이며 이때 선택하기 좋은 툴은 'sector-seven.net/software/flicflac'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초록색 버튼을 눌러서 변환기를 받았다면 압축을 풀고 실행한 뒤 변환기의 우측에서 필요한 포맷을 세팅하고 좌측에 드래그 앤드 드롭으로 mp3를 추가하면 기능이 작동할 것입니다.
각설하고 mp3를 써서 다른 형태의 포맷을 만들기 위한 변환기에 대해 간단하게 얘기를 해봤는데 대단한 내용을 정리한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wav가 필요했었던 분들께서 변환기의 기능들을 무난하게 사용하는데 보탬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다음에는 mp3가 아닌 동영상의 변환기에 대해 얘기해볼 것을 약속하며 저는 물러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