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b 읽기전용 해제 절차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상당히 작은 사이즈를 자랑하는 반면 저장 공간은 상당히 커서 여러모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는 저장 장치가 아닐까 하는데 가끔 원인은 모르겠지만 읽기전용으로 설정이 바뀌면서 usb에 자료를 더하거나 빼는 작업을 못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땐 읽기전용으로 된 설정을 해제해야 하는데 혹시 해제를 위한 절차를 몰라서 계속 장치를 사용할 수 없었다면 아래 참고할 수 있는 내용을 엮었으니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일단 읽기전용으로 바뀐 작은 장치를 컴퓨터와 연결을 해줍니다. 그리고 키보드의 '시작 버튼 + R'을 눌러서 실행 화면을 띄우고 'cmd'를 입력해서 명령 프롬프트를 켭니다. 명령 프롬프트를 켜는 것까지 완료를 했다면 이번에는 'diskpart'를 적어줍니다. 그러면 뭔가 usb 읽기전용 해제 절차와 관련이 있을 것 같은 문구들이 뜰 것입니다.



그 상태에서 'list disk'를 적으면 디스크가 목록으로 나열되는데 읽기전용이 된 디스크의 번호를 기억해둡니다. 마지막으로 'select disk 번호'와 'attribute disk clear readonly'를 적으면 설정이 해제가 되면서 읽기전용이 풀릴 것입니다. 해제를 할 때 필요한 명령의 입력 순서를 모르겠다면 상단에 이미지를 엮었으니 살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여담으로 해당 절차로 답이 나오지 않는다면 레지스트리를 바꾸거나 볼륨 축소를 하고 볼륨 확대를 한 뒤 포맷하는 등의 작업을 할 수도 있겠지만 그냥 usb의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읽기전용 복구 툴을 쓰는 것이 가장 확실한 해제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래서 서비스가 좋은 제품을 써야 하는 게 아닌가 생각이 드는군요. 각설하고 읽기전용을 푸는 방법을 엮었는데 해제에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저는 물러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