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 화면 짤림 nvidia 고정종횡비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노트북에서 화면짤림이 있을 때 nvidia 설정으로 고정종횡비를 맞추는 법



그래픽 드라이버를 준비했고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도 했는데 화면의 왼쪽과 오른쪽 혹은 위쪽과 아래쪽에 검은색의 막대가 생기고 정상적으로 화면출력이 안된다면 설정이 틀어졌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래서 설정을 되돌리면 노트북 화면 짤림도 개선될 수 있죠.



그럼 설정은 어떻게 바꾸는고 하니 상황에 따라 방법이 다릅니다. 특정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만 짤림이 생긴다면 레지스트리 값을 수정해야 하고 항상 화면에 검은색 테두리가 생긴다면 intel이나 nvidia 고정종횡비를 꺼주어야 하죠.



노트북 화면이 짤릴 때 종횡비의 고정을 풀어주는 nvidia 설정



일단 그래픽 제어판 기능으로 고정 종횡비를 맞추는 과정부터 얘기하자면 바탕화면 공백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뒤 Intel의 그래픽 속성 혹은 NVIDIA 제어판을 클릭합니다.



설정 화면이 켜졌다면 인텔은 [디스플레이 > 가로 세로 비율 사용자 지정 > 비율 100]을 맞춘 다음 적용을 눌러주면 됩니다.





엔비디아의 제어판에서는 왼쪽에 있는 카테고리 메뉴에서 [디스플레이 > 바탕화면 크기 및 위치 조정]을 순서대로 누르고 오른쪽의 스케일링 모드 선택 항목을 전체 화면으로 바꿔주면 바탕 화면이 짤리는 일이 없을 것입니다.





추가적으로 게임을 실행할 때 화면 짤림이 있는 경우엔 서두에서 언급을 했듯이 레지스트리 값을 수정해야 노트북 화면짤림이 개선되는데 상단에 제가 올려둔 파일을 받아서 실행을 해주면 간단하게 값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제가 올린 파일이 찝찝해서 사용하는 것이 꺼려진다면 아래 직접 바꿔주는 방법을 적어둘 테니 과정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레지스트리를 직접 수정하고 싶다면 키보드의 [시작 버튼 + R]을 누르고 명령어를 적어주는 부분에 [regedit]를 입력해서 편집기를 실행합니다. 그리고 [HKEY_LOCAL_MACHINE > SYSTEM > ControlSet001 > Control > GraphicsDrivers > Configuration > "모니터 이름" > 00 > 00]을 순서대로 진입합니다.





적절한 경로로 진입을 했다면 우측에서 Scaling을 더블클릭하고 데이터 값을 바꿔주면 됩니다. 3으로 바꿔주면 전체화면이 되고 4로 바꿔주면 고정종횡비가 됩니다. 각설하고 화면의 종횡비를 조절하는 방법을 적어봤는데 짤림이 있을 때 참고가 가능한 글이었길 바라며 저는 물러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