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10 시스템복원 지점 만들기와 사용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운영체제에 심각한 손상을 주는 오류가 찾아온다고 해도 사전에 백업을 해두었다면 무난히 그 순간을 넘길 수 있는데 윈도우10을 쓰는 분들이라면 자체적으로 내장된 시스템복원 기능을 활용하면 됩니다. 고로 지금의 윈도우10이 멀쩡한 상태라면 백업을 해두면 되고 행여나 문제가 생겼을 땐 백업해둔 내용으로 복원을 하면 됩니다. 물론 이런 작업을 하려면 절차부터 알아둬야겠죠? 그래서 이번에 윈도우10의 시스템 백업과 복원을 적어봤습니다!


윈도우10 시스템복원 지점 만들기와 사용


기본 준비


일단 윈도우10에서 백업 자료를 기록하는데 어느 정도의 디스크 공간을 활용할 것인지 설정을 해주어야 하는데 키보드에서 ‘윈도우 키 + Pause Break’을 눌러서 시스템 화면을 띄우고 좌측의 시스템 보호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속성 화면에서 백업이 필요한 드라이브를 선택하고 구성을 클릭합니다. 그럼 보호 대상의 기본 설정에 관한 화면이 윈도우10에 뜨는데 ‘시스템 보호 사용’에 체크를 하고 하단의 공간 사용에서 적절한 수치를 맞춰주면 됩니다. 수치는 정답이 없는 부분이니 기호에 따라 선택을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윈도우10 복원 지점 생성


기본 준비 과정이 끝났다면 이번엔 속성 화면에서 만들기를 클릭하고 적절한 이름을 적어주면 됩니다. 최초로 윈도우10 백업 작업을 하시는 분들이라면 ‘최초 백업 지점’ 정도로 이름을 적어두는 것이 적당하겠죠? 좌우간 이렇게 생성 버튼을 눌러주고 조금 기다리면 만드는 것에 성공했다는 대화 상자가 뜨는데 확인을 눌러주면 모든 과정은 완료가 됩니다. 의외로 시스템복원에 활용할 데이터를 만드는 것이 간단한 수준이죠?



데이터 활용


지금까지 설명한 과정들을 윈도우10에 성공적으로 적용했다면 복원을 하고 싶을 땐 동일한 경로로 진입을 한 뒤 시스텝복원 버튼을 눌러주면 됩니다. 그럼 윈도우10에서 마법사 화면을 띄우는데 사전에 백업을 해두었던 기록들이 있으며 마법사에서 과정을 충분히 안내해주고 있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을 몰라도 마법사의 실행을 할 수 있다면 큰 어려움 없이 복원을 진행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로 윈도우10을 기준으로 시스템복원에 대해 얘기를 했는데 사실 윈도우10이 아니라 윈도우8과 8.1에서도 동일한 과정으로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8과 8.1을 사용하고 있는 분들께서도 운영체제가 멀쩡할 때 한 번쯤 백업을 해둘 것을 권장합니다. 각설하고 윈도우10 시스템복원에 관한 내용을 정리해봤는데 부족한 글이었지만 그래도 들러주신 분들에게 보탬이 될 수 있었길 바라며 저는 이쯤에서 물러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