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인코더 자막합치기 (자체 인코딩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간단한 카카오인코더의 자막합치기로 자체적인 인코딩하는 과정 안내



텍스트 파일을 인식할 수 없는 재생 환경에서 텍스트 파일이 보일 수 있도록 하려면, 텍스트 파일과 미디어 파일을 하나로 묶어주면 됩니다. 예전에는 다음팟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공식 지원이 종료되었으니 카카오인코더 자막합치기를 차선책으로 선택할 수 있어요.



물론 해당 툴을 활용해서 동영상 자체자막을 만들고 싶다면, 툴을 구하는 과정이나 사용하는 방법 정도는 미리 알아두는 것이 좋겠죠? 그래서 이번에 참고하실 수 있도록 자막 인코딩에 대한 정보들을 정리해봤어요. 엄청난 노하우를 공유하는 글은 아니겠지만, 그래도 카카오인코더 자막합치기를 할 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cacaotools.com


▼ 툴을 구하는 것부터 얘기하자면, 네이버 자료실이나 위에 적어둔 공식 홈페이지에서 파일을 받을 수 있습니다. 공식 페이지에서는 아래 이미지에 표시한 버튼을 눌러주세요.



▼ 설치 과정은 간단하니 설명을 생략할게요. 실행한 뒤에는 파일 추가를 눌러서 미디어 파일을 선택해주세요.



▼ 파일을 추가했을 때 텍스트 부분에 [O]가 나오지 않는다면, 미디어 파일과 텍스트 파일의 경로나 이름이 다른 것이니, 경로와 이름을 수정하고 다시 추가하면 됩니다.



▼ 파일을 추가한 뒤에는 설정 값 변경이라 적힌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마찬가지로 위치는 이미지에 표시할게요.



▼ 추가 화면이 열리면 포맷을 맞춰주세요. 보통은 AVI가 적당해요. 그리고 우측 상단의 그룹에서 원하는 형태를 지정하고 적용을 누르면 됩니다.



▼ 이제 마지막으로 오른쪽 아래에 있는 변환 시작을 누른 뒤 작업이 완료되면 결과물을 확인하면 됩니다.



아무쪼록 원하고 있었던 결과물을 만드는데 조금은 보탬이 되었길 바라며 저는 물러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