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프로그램 설정 작업 절차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컴퓨터를 켤 때마다 매번 활용하고 있는 소프트웨어가 있다면 윈도우와 함께 자동으로 켜질 수 있도록 시작프로그램으로 등록을 해주는 것이 좋고 반대로 불필요한 항목이라면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설정을 해주는 것이 좋은데 혹시 설정을 하고 싶었지만 작업하는 방법을 몰라서 작업을 미뤄왔다면 이번에 적절한 절차를 설명하려 글을 적었으니 읽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우선 등록을 위한 설정을 먼저 얘기하자면 키보드에서 '윈도우 키 + R'을 누릅니다. 그리고 'shell:startup'을 입력하고 엔터를 누릅니다. 그럼 하단의 이미지와 같은 폴더가 열리는데 자동으로 켜지게 만들고 싶은 소프트웨어의 바로 가기 아이콘을 넣어주면 됩니다. 반대로 아이콘을 빼주면 시작프로그램 설정 작업 절차에서 툴을 제외하는 방법이 됩니다.



추가적으로 각종 소프트웨어에서 자동으로 등록한 툴의 설정을 바꾸는 작업에 대해서도 얘기를 하자면 '윈도우 키 + R'의 실행 화면에서 'msconfig'를 적어줍니다. 그럼 시스템 구성 화면이 뜨며 하단의 이미지와 동일한 탭과 메뉴를 클릭하면 기존에 설정이 되어 있는 소프트웨어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럼 필요하지 않은 것을 선택하고 사용 안 함을 클릭하면 작업은 완료됩니다.



여담으로 시작프로그램의 등록 제외 설정이 아니라 말끔히 삭제하고 싶다면 최적화 툴로 작업하는 것이 좋은데 'Wise Care'와 'Glary Utilities'가 괜찮더군요. 이름만 알아두면 쉽게 구해서 쓸 수 있는 종류이니 깔끔한 컴퓨터를 원할 땐 구동을 하면 좋을 듯합니다. 각설하고 PC의 설정 변경에 대해 언급했는데 간단한 팁에 불과했지만 그래도 작업을 진행하는 것에 보탬이 되는 절차였길 바라며 저는 물러나겠습니다.